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전자약


전자약 부상: 왜 전기·자기 자극이 주목받나

최근 전자약이 기존 화학 약물의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자약이란, 인체에 전류나 자기장을 가해 특정 신경세포나 장기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방식의 의료기기 기술을 의미합니다. 과거에는 심장박동 조절기처럼 체내에 삽입해야 하는 이식형 전자약이 주류였지만, 최근에는 몸 밖에서 뇌나 신체 부위를 직접 자극하는 ‘비침습형 전자약’이 속속 등장하며 대중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의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있습니다. 첫째, 환자가 의존해온 기존 화학 약물들은 주로 혈류를 통해 전신에 퍼지면서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전자약은 “직접 신경을 자극”하기 때문에 효과 발현 범위가 국소적이고, 부작용이 더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둘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 발달로 소형·휴대형 전자기기를 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됐습니다. 셋째, 고령화와 함께 우울증·치매·암 등 만성질환 환자가 늘어나면서, 약물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질환 영역을 공략하는 대안이 필요해졌습니다.

시장조사업체 마케츠앤드마케츠에 따르면, 세계 전자약 시장 규모는 2024년 239억 달러(약 32조 원)에서 2029년 336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미 미국·유럽 등을 중심으로 전자약 임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며, 한국 역시 뒤늦게나마 우울증·치매·통증 치료 등 다양한 분야로 범위를 넓혀가는 중입니다. 전자약이 ‘약 없는 시대’를 열 수 있을지, 아니면 보조적 대안에 그칠 것인지, 의료계와 산업계가 큰 관심을 기울이는 시점입니다.


우울증 전자약: “헤드셋 착용만으로 우울 증상 개선”

우울증 치료에 있어 전자약 활용도가 급증한 대표적 사례로, 스웨덴 헬스케어 기업 플로 뉴로사이언스(FLO NeuroScience)가 개발한 헤드셋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 헤드셋은 이마에 닿는 패드를 통해 2mA 정도의 경두개 전기 자극을 뇌 전두엽에 전달함으로써 우울 증상을 완화시키는 원리입니다. 최근 영국과 미국 공동 연구팀이 진행한 임상 시험에서, 하루 30분씩 주당 3~5회, 총 10주간 이 헤드셋을 착용한 우울증 환자들의 증상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으로 보고됐습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치료가 병원 입원이 필요 없고, 집에서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연구팀은 화상회의 등으로 환자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며, 전기 자극 세기와 빈도를 조절해 나갔습니다. 이렇게 비침습형 전자약이 각광받는 배경에는 “자기 집에서 편안하게 치료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큽니다. 기존 전기경련치료(ECT)처럼 전신 마취와 입원 시설이 필요한 방식과 달리, 저강도 전류만으로 안전한 수준의 뇌 자극을 유도하여 우울감 개선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기존의 항우울제나 심리치료가 전자약에 의해 완전히 대체되는 건 아니라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다만, 1차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거나, 약물 부작용이 큰 환자에게 전자약이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 임상 현장에서도 불응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약을 시도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AI와 결합해 사용자별 맞춤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하는 연구도 추진 중입니다.


국내 우울증 전자약 시장, 가파른 성장 중

한국에서도 우울증 전자약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입니다. 대표적으로, 국내 기업 와이브레인(WiBrain)이 개발한 ‘마인드스팀(MindStim)’은 머리에 밴드 형태로 착용해 미세 전류를 뇌에 전달, 우울 증세를 완화하는 기기로 2021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 기기의 누적 처방 건수가 이미 9만 건을 넘어서며, 의료 현장이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등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와이브레인은 최근 의료기기 전문기업 세라젬과 손잡고, 마인드스팀의 가정용 버전인 ‘마인드핏(MindFit)’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전류 강도를 더 낮춰 안전성을 높이고, 일반인도 가정에서 쉽게 우울증 관리에 활용하도록 개념 설계한 것입니다. 시장 반응이 좋으면, 병원 진료를 받기 어려운 지역이나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에게도 우울증 전자약 보급 가능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의료계에 따르면, 젊은 세대일수록 디지털 기기를 부담 없이 수용하는 경향이 있어, 모바일·웨어러블 형태 전자약이 주류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큽니다. 예컨대 스마트폰 앱과 연동해 전류 세기를 조절하고, 사용자 데이터(수면·활동량 등)를 기반으로 맞춤형 자극 프로토콜을 제공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은 결국 우울증 환자에게 더 정밀하고 개인화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발판이 될 것으로 예견됩니다.


암·알츠하이머 등 다른 질환에서도 전자약 공략

전자약은 우울증 외에도 다양한 질환으로 치료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예컨데 지난 15일, 스위스 바이오기업 노보큐어(Novocure)의 ‘옵튠루아(Optune Lua)’가 미국 FDA에서 전이성 비소세포폐암 치료 목적으로 승인받았습니다. 이 제품은 가슴 부위 패치를 부착해 전기장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암세포 분열을 막거나 파괴하는 원리로 치료 효과를 냅니다. 이미 뇌종양(교모세포종) 치료에서 비슷한 원리가 상당한 효과를 보였는데, 이번엔 폐암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또한 국내 기업인 리메드(Limed)는 뇌에 자기장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알츠하이머병 치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 발표)에서, 자기장 자극이 알츠하이머 환자의 인지기능을 개선하는 경향이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합니다. 기존 약물보다 뚜렷한 인지기능 개선을 보인 데 주목하며, 추가 임상을 거쳐 의료기기 허가를 목표로 잡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예측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약 시장은 2024년 239억 달러에서 2029년 336억 달러로 성장이 예상되고, 질환별로 세분화된 특화 전자약이 각광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의학적 근거가 축적됨에 따라, 알츠하이머·파킨슨·만성 통증·편두통 등 다양한 질환에도 전자약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내다봅니다. 주의할 점은, 인체에 전기·자기 자극을 장기간 적용하는 만큼 안정성·유효성을 충분히 검증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전자약 적용 분야 및 사례

질환 분야대표 전자약 / 업체작동 원리 및 특징임상·승인 현황
우울증FLO NeuroScience(스웨덴), 와이브레인(한국)경두개 전기 자극(약 1~2mA)으로 뇌 전두엽 자극, 기분 개선유럽·미국 임상 진행, 국내선 식약처 허가(와이브레인) 등 진행 중
암(폐암 등)노보큐어 ‘옵튠루아(Optune Lua)’전기장으로 암세포 분열 억제·파괴FDA 승인 획득(전이성 비소세포폐암), 뇌종양 교모세포종 등 적용
치매(알츠하이머)리메드(한국)뇌에 자기장 적용, 인지기능 개선JAMA 네트워크 오픈 임상결과, 의료기기 허가 목표
뇌질환(고도 우울증 등)전기경련치료(ECT), 심부뇌자극(DBS) 등고전적 이식형 전자약 또는 비침습 자극 기법일부는 이미 임상 현장 활용, 환자·인프라 제한

출처: 식약처·FDA·의료기업 발표 자료, Market&Markets (2023~2024년)
설명:

  • 전자약 적용 질환이 우울증 → 암·치매 등 다방면으로 확장
  • 각 질환별 접근 방식 및 장단점 상이, 추가 임상시험 필요


마무리: “전자약, 약 없는 치료 시대 이끌까… 우울증부터 알츠하이머까지 확장 중”

최근 스웨덴·영국·미국 등에서 진행된 우울증 전자약 임상시험 결과와, 한국 와이브레인 등의 국내 사례를 보면, 뇌 자극을 통한 치료가 확실히 의료계의 새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복잡한 부작용이 따르는 화학 약물을 대체하거나 보완할 만한 수단으로 전자약이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특히 하루 30분씩 집에서 헤드셋을 착용하는 것만으로 우울 증상이 개선되거나, 뇌세포 손상을 일으키는 알츠하이머나 암세포를 전기·자기장 자극으로 억제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등, 기존에 없던 혁신적 패러다임이 도래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자약이 완전한 ‘만능 해법’이 될 수 있는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전기·자기장 자극이 뇌나 인체 다른 장기에 미칠 장기적 영향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고, 비용·보험 적용 문제도 풀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전자약이 빠르게 대중화하면,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하지 않고도 집에서 안정적으로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시대가 앞당겨질 것입니다. 연구자들과 기업들은 “전자약이 우울증·암·치매·통증·파킨슨병 등 광범위 질환 영역으로 확장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결국 전자약의 성공 여부는 임상시험 데이터 축적, 정부 허가·보험 제도 정비, 사용자 편의성 향상 등 복합적 요인에 달려 있습니다. 우울증 환자가 약이 아닌, 헤드셋을 착용해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는 시대가 과연 얼마나 빨리 다가올지, 세계 의료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Leave a Comment